목록기초이론 (205)
팜테크(FAMTEC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jRVZ/btr2PSzz8N3/Nk8fhdTKVWPKWxknZNJFQk/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진동(Vibration)이란? 진동이란 외부의 힘에 의해 시편이 시간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진동이라고 합니다. 자유 진동(Free Vibration) 강제 진동(Forced Vibration) 외력 여부에 의해 자유/강제 진동으로 분류 됩니다. 자유 진동의 경우 Natural Frequency에 의해 진동을 하고 강제 진동의 경우 외부의 힘 진동수와 시편의 Natural Frequency가 일치하는 경우 공진이 발생합니다. 진동계(Vibration System) 시스템이란 제어 공학 관점에서 입력과 출력에 의해 수학적으로 모델링이 가능한 박스(Box)를 의미 합니다. 진동계란 진동과 시스템이 합쳐진 의미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nx77/btrWCHQPeNr/XkWOze8qZfGrOcV9LvbWtk/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Focal Distance, Working Distance, FOV, Angle of View 란? 초점 거리(Focal Length)는 일반적으로 mm로 표기 합니다. 그림1과 같이 렌즈(Lens)를 표기할 때 초점거리(Focal Length)와 함께 표기 합니다. 초점 거리는 그림2와 같이 렌즈와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의 거리를 의미 합니다. mm가 작으면 초점거리가 짧으므로 Angle of View 커집니다. Angle of View는 그림2의 빨간선의 각도를 의미 합니다. Working Distance는 피사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Field of View(FOV)는 카메라의 이미지 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9PRN3/btrVxq9Omyf/AdXf7IWUjGPh6JYeUQhmxk/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Elastic / Plastic Deformation이란? 탄성(Elasticity)이란 시편에 가하고 있는 힘을 제거하였을 때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는 능력을 탄성이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다음과 같이 정의 합니다. "Ability to regain original shape when applied force is removed" 탄성은 수식으로 아래와 같이 표현 됩니다. Elasticity = Stress/Strain 예를 들어 동일한 길이와 두께의 고무가 쇠를 같은 힘과 방향으로 당긴 다음 힘을 제거해서 두 시편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때 어느 시편의 탄성이 높을까요? 정답은 쇠의 탄성이 높습니다. 탄성이란 빠르게 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6UVL/btrSr5uH4LF/9lbV6kKJaBpAAehMJzjenk/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Stress Life Approach(SN Curve) 이란? 앞서 포스트에서 SN Curve에 대한 제작 과정에 대한 내용(https://famtech.tistory.com/124)만 적고 SN 그래프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서 이번 포스트에서 보강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그래프와 같이 X축을 Cycles수 Y축을 응력 범위(Stress Range)로 표현한 그래프를 Stress Life 그래프 (SN Curve)라고 합니다. Stress-Life(SN)은 금속의 피로(Fatigue)를 수량으로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 개발되었습니다. 현재까지 약 100년 이상 피로 설계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파워 트랜스미션 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