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69)
팜테크(FAMTEC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uZPs/btrSPQQ8m7b/FwaDI37J5fIzgiRmsIAkx0/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고주파 계측 마이크로폰 위 그림과 같이 기본적인 마이크로폰의 주파수와 측정 범위는 20~20KHz, 20~120dB 정도 입니다. 고주파(High Frequency) 영역의 측정과 이때 어떠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음향에서 고주파 영역은 일반적으로 10kHz에서 200kHz를 일컽습니다. 고주파 영역의 음압은 위와 같이 회절(Diffraction)이 크게 발생합니다. 그리고 파장이 짧기 때문에 90도 각도에서 측정할 경우 마이크로폰의 다이아프램(Diaphram)의 직경이 사운드의 파장(Wavelength)보다 클 경우 Cancellation 현상이 발생합니다. 팜테크에서 판매 중인 GRAS 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oLIyV/btrSDKX9nRv/U6vCPXHhkkqFj7iWpbxr9K/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저주파 계측 마이크로폰 위 그림과 같이 기본적인 마이크로폰의 주파수와 측정 범위는 20~20KHz, 20~120dB 정도 입니다. 저주파(Low Frequency) 영역의 측정과 이때 어떠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주파 사운드(Low Frequency Sound)는 일반적으로 10~160Hz를 일컽습니다. 그리고 초저음파 불가청음(Infra Sound)는 20Hz 이하의 영역을 가리킵니다. 저주파 계측 마이크로폰 적용 사례 소닉붐 측정(Sonic Boom Measurement) 그림은 전투기(Jet, Fighter)가 Supersonic 속도로 비행을 할 경우 소닉붐이 발생하는 이미지 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hGWu/btrSy9cc7Tj/rjHIBpZr0w5ZwHiFVf01Wk/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High Level 마이크로폰 위 그림과 같이 기본적인 마이크로폰의 주파수와 측정 범위는 20~20KHz, 20~120dB 정도 입니다. 이 중에서 높은 영역의 dB 값을 측정하여야 하는 경우와 이때 어떠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림과 같이 마이크로폰의 직경이 작아지면 감도(Sensitivity)는 작아지고 작은 전압으로 높은 Pascal의 음압(SPL, Sound Pressure Level)을 측정할 수 있게 됩니다. High Level 마이크로폰 예제(적용 사례) 위 예제는 제트 엔진(Jet Engine)의 Near Field에서의 음압을 측정한 예제 입니다. 오른쪽 상단과 같이 3rd 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6UVL/btrSr5uH4LF/9lbV6kKJaBpAAehMJzjenk/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Stress Life Approach(SN Curve) 이란? 앞서 포스트에서 SN Curve에 대한 제작 과정에 대한 내용(https://famtech.tistory.com/124)만 적고 SN 그래프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서 이번 포스트에서 보강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그래프와 같이 X축을 Cycles수 Y축을 응력 범위(Stress Range)로 표현한 그래프를 Stress Life 그래프 (SN Curve)라고 합니다. Stress-Life(SN)은 금속의 피로(Fatigue)를 수량으로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 개발되었습니다. 현재까지 약 100년 이상 피로 설계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파워 트랜스미션 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