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초이론 (204)
팜테크(FAMTEC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Vn36/btrMKWb3mBt/2kbEyORjVztPzGwgJfklKK/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Young's Modulus란? Young's Modulus는 영률이라고 부릅니다. 변형률(Strain)과 응력(Stress)의 비를 나타내는 값으로 Hooke's law(후크)에 따라 정의되었습니다. Young's Modulus가 중요한 이유는 Yield Strength(항복 지점)전에 응력과 변형률은 선형성(Linear)을 가지기 때문에 Strain Guage를 사용해서 변형률(Strain)을 측정하고 변형률을 이용해서 응력(Stress)을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식은 위와 같이 표기 되고 변형률(ε)는 단위가 없고 응력(σ)은 파스칼(Pascal)을 사용하기 때문에 영률의 단위도 Pa 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AcRV/btrLByEX897/NDYukh4d39uyTDcUbA5Ih0/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Strain Guage] 스트레인 게이지 선택 방법(Selection) 이번 포스트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처에 맞게 선택하는 방법은 KYOWA 자료를 참조해서 작성하였습니다. 해당 원문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 https://www.kyowa-ei.com/eng/technical/strainbasic_course/index.html 1. 환경에 따른 선택 측정 환경이 고열이나 방수 등의 환경에 따라 선택합니다. 2. 재료의 종류나 공간에 따른 선택 콘크리트와 같은 비등방성 재료는 넓게 측정하고 나무나 유리와 같은 재질이 일정한 재료는 상대적으로 작은 게이지 사이즈를 사용합니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HKOa/btrLukkI9BO/VYlHkCuxEqxcSDQAO50WRK/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음향(acoustics)에서 음원에서 측정 포인트의 거리, 환경에 대한 정의에 따라 측정 값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의가 필요 합니다. 아래는 음향 측정에서 정의하는 주요 필드입니다. Near Field Far Field Free Field Diffuse Field(Random incidence) 해당 내용에 대한 상세 내용은 링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https://famtech.tistory.com/54). Free Field와 Diffuse Field 보상 방법 Free field 나 Diffuse field(Random incidence)는 마이크로폰(Microphone) 자체에 의해 음장(Sou..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65LA/btrKU8smGr7/iDjvcxPvAPKwDeOrP1pJD0/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ICP, IEPE Accelerometer 구조 ICP(Integrated Circuit Piezoelectric), IEPE(Integrated Electronics Piezo-Electric) 가속도 센서는 위 그림과 같이 피에조 센서 위에 PCB보드(빨간색 원판)가 내장되어 있어서 전하(Charge)를 전압으로 변환 해줍니다. PCB 구동을 위해 2mA~4mA의 전류를 공급해야 합니다. 전류 공급과 출력을 2개의 라인으로 처리합니다. 이러한 특성에 맞춰 신호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전용 컨티셔너(Conditioner)가 필요합니다. 해당 Conditioner는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소스(Current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