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초이론 (207)
팜테크(FAMTEC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r2LT/btsFhfQYOa7/kF80HFvOs5mcaXtlH7tTSK/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Cabliration이란? Calibration은 기본적으로 어떤 장치의 정확도를 높이고 원하는 동작을 달성하기 위해 그 장치의 파라미터(매개변수)를 조정하고 최적화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해당 장치가 정확하게 작동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이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에서는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ECUs) 같은 내부 시스템을 최적화하기 위해 캘리브레이션이 사용됩니다. 캘리브레이션의 주요 단계 파라미터 조정: 장치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설정이나 매개변수를 조정합니다. 측정 및 평가: 조정된 파라미터의 영향을 측정하고 평가하여 원하는 동작이 달성되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fx8B/btsECkLoCdO/n4fszh4cJalHIn0WW78uDK/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CAN DBC란? CAN DBC는 '데이터베이스 CAN'을 의미하며, CAN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의미와 구조를 설명하는 텍스트 기반 파일입니다. 간단히 말해, DBC 파일은 CAN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사람이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번역기'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CAN 버스는 차량 내 다양한 장치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통신 네트워크입니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는 주로 8바이트의 16진수 데이터 형태로 구성됩니다. DBC 파일의 역할은 이러한 16진수 데이터(8바이트까지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 필드를 가짐)를 '의미 있는' 물리적 값으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Uh5je/btsEvgQzE6s/SYCEub9QGkcQzfDhFIAxU0/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Baud Rate 과 Bit Rate CAN (Controller Area Network) 버스는 차량 및 산업 자동화 시스템에서 신뢰성 높은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다양한 네트워크 장치 간의 메시지 기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실시간 시스템에서 센서, 액추에이터, 제어 장치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통신의 핵심은 바우드율(baud rate)과 비트율(bit rate)의 설정에 있습니다. Baud Rate 바우드율은 CAN 버스에서 전기적 신호 전환의 속도를 나타냅니다. 이는 초당 고전압과 저전압 사이의 전환 횟수로 표현되며, 데이터의 물리적 전송 속도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oD5mb/btsEhHmHQuD/Sw8CFrgvPNZDFuAqRR74q0/img.png)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CCP 란? CCP와 XCP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기술들입니다. 이 기술들은 자동차 내부의 전자 제어 장치(ECU)에서 데이터를 조정하고 수집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ASAM이라는 단체가 이 기술들을 정의했습니다. 자동차에서는 많은 전자 장치들이 있고, 이 장치들은 자동차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제어합니다. 예를 들어, 엔진의 효율성을 높이거나, 안전 기능을 관리하는 것과 같은 일을 합니다. CCP(CAN Calibration Protocol)는 주소 지향 프로토콜이라고 해서, 특정한 주소를 사용해 데이터를 조정하고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Master-Slave" 개념을 사용하는데, 이는 하나의 주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