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테크(FAMTECH)
[음향 카메라]CSM, Auto correlation 제거 기법이란? (소음, 사운드, Acoustic Camera, Cross Spectral Matrix, 빔포밍) 본문
[음향 카메라]CSM, Auto correlation 제거 기법이란? (소음, 사운드, Acoustic Camera, Cross Spectral Matrix, 빔포밍)
FAMTECH 2025. 5. 14. 08:48
목차
"관련제품 문의는 로고 클릭 또는 공지사항의 연락처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음향카메라] CSM 이란?
CSM(Cross Spectral Matrix, 교차 스펙트럼 행렬)은 배열 신호 처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학적 도구로, 특히 빔포밍(beamforming)이나 음향 카메라(acoustic camera)와 같은 음향 측정 및 소스 위치 추정 기술에서 핵심적으로 활용된다. 기본적으로, CSM은 마이크 배열로 수집한 신호의 주파수 성분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행렬이다. 각 행과 열은 마이크 채널에 해당하며, 행렬의 각 원소는 특정 주파수에서 두 마이크 간의 크로스 스펙트럼(cross-spectrum), 즉 복소수 형태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이때 주파수 분석은 일반적으로 푸리에 변환(FFT)을 통해 수행되며, 따라서 CSM은 주파수별로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이 수식은 두 마이크 m과 n에서 수신한 신호 간의 복소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해당 주파수 성분에서의 에너지 분포와 위상 차이를 포착한다.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CSM은 Hermitian 행렬(대각선을 기준으로 켤레 전치)이며, 대각 성분은 각 마이크의 자기 상관(autocorrelation), 비대각 성분은 서로 다른 마이크 간의 교차 상관(cross-correlation)을 나타낸다.
CSM은 주로 주파수 도메인 빔포밍 알고리즘에 사용된다. 빔포밍에서는 특정 방향을 향해 스티어링 벡터(steering vector)를 적용하여 해당 방향에서의 소리 세기를 추정하며, 이때 CSM을 기반으로 방향성과 분해능을 확보한다. 또한, 고급 알고리즘인 CLEAN-SC, Orthogonal Beamforming, Functional Beamforming 등도 모두 CSM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소리 소스의 정밀한 분리 및 시각화를 가능하게 한다.
- 잡음 억제: 센서 자체의 노이즈 제거로 신호 품질 향상
- 다이내믹 레인지 개선: 강한 소리가 약한 소리를 가리는 문제 완화
- 음원 분리력 향상: 겹치는 음원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분리 가능
- 신뢰성 있는 소스 분석: 실제 음원 간 관계에 집중 가능
Auto correlation 제거 기법이란?
CSM의 주요 응용 중 하나는 “Delete Autocorrelation” 기법이다. 이 기법은 CSM의 대각 성분, 즉 자기 상관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큰 소리로 인해 마스킹되는 조용한 소리를 더 잘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자기 상관 성분은 종종 해당 마이크 고유의 잡음이나 매우 큰 소리로 인해 과도하게 강조되어 전체 분석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이를 제거함으로써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확장하고 소스 간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CSM은 다채널 음향 신호 분석의 수학적 기반으로서, 정확한 소리 소스의 위치 추정, 주파수 특성 분석, 다중 소스 분리 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도구이다. 주파수별로 계산되며, 그 정보를 통해 다양한 고급 음향 처리 기술이 구현된다.
해당 내용과 관련해서 팜테크에서 시스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시면 아래 홈페이지 또는 연락처를 통해 문의 주시면 됩니다. :)
https://famtech.co.kr/sub04/01_01.php
팜테크
진동센서, 진동시험기, 충격시험기, 쉐이커, 소음측정, 내구성 해석, Data Acquisition 취급. 팜테크
famtech.co.kr